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기획자와 PM이 알아두면 좋은 정보ㅋ

객체 지향 분석 방법론(OOA; Object Oriented Analysis)이란? OOSE, OMT, OOD

안녕하세요, 서비스 기획자 완두콩입니다.

 

오늘은, 객체 지향 분석 방법론(OOA; Object Oriented Analysi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객체 지향 분석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요구된 문제와 관련된 모든 클래스(객체), 속성과 연산, 관계를 정의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입니다. 여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아래에 한번 설명드리겠습니다.

 

1. OOSE(Object Oriented Software Engineering) : 만든이 '야콥슨(Jacobson)'

 : 유스케이스에 의한 접근 방법으로 유스케이스를 모든 모델의 근간으로 활용되는 방법론입니다. 분석, 설계, 구현 단계로 구성되며 기능적 요구사항 중심의 시스템을 갖췄습니다.

 

2. OMT(Object Modeling Technology) : 만든이 '럼바우(Rumbaugh)'

: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모델링하는 방법론입니다. 분석 절차는 객체 모델링, 동적 모델링, 기능 모델링 순서로 진행됩니다. 객체 모델링(Object Modeling)이란, 정보 모델링(Information Modeling)이라고도 하며, 시슽메에서 요구하는 객체를 찾고 객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ER 다이어그램을 만드는 과정까지의 모델링을 말합니다. 주로, 객체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표현합니다. 동적 모델링(Dynamic Modeling)이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객체들 사이의 제어 흐름,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입니다. 주로, 상태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표현합니다. 마지막으로, 기능 모델링(Functional Modeling)이란, 프로세스들의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표현하는 모델링입니다. 주로, 자료 흐름도(DFD)를 활용하여 표현합니다.

 

3. OOD(Object Oriented Design) : 만든이 '부치(Booch)'

: 설계 문서화를 강조하여 다이어그램 중심으로 개발하는 방법론으로 분석과 설계의 분리가 불가능합니다. 분석하는 데 이용된 객체 모델의 설계 시 적용합니다.

 

이처럼, 객체 지향 분석 방법론의 종류를 알아보았는데요! 객체 지향 분석 방법론은 요구사항을 통해 요구된 문제와 관련된 모든 것들을 관계화하여 정리한다고 보시면 편합니다!! 이 내용도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에 종종 출제되니, 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거예요 ㅎㅎ

 

그럼 이만,,,감사합니다.

반응형